반응형

전체 글 193

Java 프로그래밍의 기본이 되는 명령어들 알아보기

주석(comment) - 코드 내에서 설명을 추가할 때 사용합니다. 한 줄 주석은 //으로 시작하고, 여러 줄 주석은 /*와 */로 감싸서 사용합니다. 변수(variable) -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을 할당받아 이름을 부여한 것입니다. 변수는 기본 데이터 타입(primitive data type)과 참조 데이터 타입(reference data type)으로 구분됩니다. 데이터 타입(data type) - 변수가 저장할 수 있는 값의 종류를 정의합니다. 기본 데이터 타입에는 int, double, boolean 등이 있고, 참조 데이터 타입에는 String, Array, Class 등이 있습니다. 상수(constant) - 변하지 않는 값을 저장하는 변수입니다. 상수는 final 키워드를 사용..

IT 기본상식 2023.03.14

컴퓨터 부품: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각 부품의 역할과 기능

컴퓨터 부품은 하드웨어(Hardware)와 소프트웨어(Software)로 구성됩니다. 하드웨어는 컴퓨터 시스템의 물리적 구성요소를 말하며, CPU, 메모리, 저장 장치 등이 포함됩니다. 소프트웨어는 프로그램, 운영체제(OS), 드라이버, 어플리케이션 등을 말합니다. 컴퓨터 부품은 대개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중앙 처리 장치(CPU) - 컴퓨터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부품 중 하나로, 컴퓨터에서 모든 계산을 담당합니다. 메인보드 - CPU, 메모리, 그래픽 카드 등의 다른 부품들을 연결하고 제어하는 주요 컴퓨터 부품입니다. 메모리(RAM) - 컴퓨터에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임시 저장 장치입니다. 저장 장치 -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로, 하드디스크(HDD)와 솔리드..

IT 기본상식 2023.03.14

컴퓨터 저장장치(HDD부터 SSD M.2 NVMe까지) 속도 비교

보통 하드디스크(HDD)부터 SSD SATA, SSD NVMe, SSD M.2 NVMe까지 속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HDD(Hard Disk Drive) - 기계식 구조로 인해 저속 (5,400 ~ 7,200 RPM)으로 동작 SSD(Solid State Drive) SATA - HDD 대비 향상된 성능을 보이지만, NVMe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느림 SSD(Solid State Drive) NVMe - SSD SATA 대비 높은 성능을 보여줌 SSD(Solid State Drive) M.2 NVMe - 현재 가장 빠른 속도를 제공하는 SSD로, 대용량 파일을 다운로드하거나 많은 데이터를 처리할 때 매우 유용함 하지만, 이는 모든 HDD 및 SSD에 대한 일반적인 속도 범위이며, 브랜드, 용량 및 기술적..

IT 기본상식 2023.03.14

네트워크 통신에서 사용되는 OSI 7계층과 TCP/IP 4계층의 차이점

| OSI 7계층 | TCP/IP 4계층 | |--------------------------|-------------------------------| | 7. 응용 계층 | 4. 응용 계층 | | 6. 표현 계층 | | | 5. 세션 계층 | | | 4. 전송 계층 | 3. 전송 계층 | | 3. 네트워크 계층 | 2. 네트워크 계층 | | 2. 데이터 링크 계층 | | | 1. 물리 계층 | 1. 물리 계층 | OSI 7계층 1계층(물리 계층, Physical Layer): 네트워크의 물리적인 구성 요소에 대한 표준을 정의합니다. 2계층(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물리 계층 상의 오류를 검사하고 수정합니다. 3계층(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데이터의 경로를..

네트워크 2023.03.14

인터넷 프로토콜에서 사용하는 포트 번호와 공식적인 포트 번호의 중요성

인터넷 프로토콜에서 사용하는 포트 번호는 0부터 65535까지 총 65536개가 있습니다. 이 중 일부는 표준화된 공식적인 포트 번호로 사용되며, 이 포트 번호를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인터넷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다음은 일부 표준화된 공식적인 포트 번호입니다. HTTP: 80 HTTPS: 443 `FTP(Data): 20 FTP(Control): 21 SSH: 22 Telnet: 23 SMTP: 25 DNS: 53 TFTP: 69 HTTP Proxy: 8080

네트워크 2023.03.14

HTTP와 HTTPS의 차이점과 보안 프로토콜의 중요성

HTTP(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와 HTTPS(HTTP Secure)는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하지만 두 프로토콜은 보안 및 데이터 암호화의 측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HTTP: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하지만, 데이터 전송 시 암호화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가 노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HTTPS: HTTP의 보안 버전으로, SSL(Secure Sockets Layer) 또는 TLS(Transport Layer Security)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송합니다. 데이터가 암호화되기 때문에, 데이터 노출 및 해킹 등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네트워크 2023.03.14

"JSP와 Servlet을 이용한 간단한 회원가입 및 로그인 기능 구현 예시 - MVC 패턴 적용하기"

MVC 패턴은 모델(Model), 뷰(View), 컨트롤러(Controller)로 구성됩니다. 모델은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역할을 하며, 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컨트롤러는 모델과 뷰를 연결하여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고, 결과를 뷰에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MVC 패턴을 적용하면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비즈니스 로직과 뷰 템플릿을 분리하여 각각을 독립적으로 개발 및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MVC 패턴을 적용한 예시입니다. Model public class UserDAO { private Connection conn; public UserDAO() { // 데이터베이스 연결 try { Context initContext ..

jsp 코드 2023.03.14

JSP에서 SQL Injection 공격을 방지하는 방법

SQL Injection 공격이란,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입력 값에 대한 검증 없이 SQL 쿼리를 실행하는 경우, 악의적인 사용자가 입력 값에 SQL 쿼리를 삽입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조작하는 공격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SQL 쿼리를 실행하는 코드가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String username = request.getParameter("username"); String password = request.getParameter("password"); String query = "SELECT * FROM users WHERE username='" + username + "' AND password='" + password + "'"; Statement stmt = conn.createStat..

jsp 코드 2023.03.14

Connection Pool 을 이용한 데이터베이스 연결

JSP에서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는 방법 중 하나인 Connection Pool을 이용한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Connection Pool은 데이터베이스 연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와 동시에, 매번 연결을 생성하고 해제하는 작업이 비효율적이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Connection Pool을 사용하면 미리 일정한 개수의 연결을 생성해 두고, 요청이 발생하면 그 중 하나를 할당하여 사용하고, 작업이 끝나면 반납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합니다. 이를 통해 연결 생성/해제 시간을 절약하고, 데이터베이스 연결 작업에 대한 부하를 줄일 수 있습니다. Connection Pool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는 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Apache Tomcat에서 제공하는 Connectio..

데이터베이스 2023.03.14

로그아웃 기능 구현 예시 - JSP로 로그아웃 기능 만들기

로그아웃 처리를 위한 logout.jsp 파일을 만들어보겠습니다. 로그아웃 되었습니다. 로그인 페이지로 이동 위 코드에서는 로그아웃 처리를 위해 session.invalidate() 메서드를 사용하여 세션을 무효화합니다. 그리고 로그아웃이 완료되었다는 메시지와 함께 로그인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는 링크를 제공합니다. 이제 JSP를 이용하여 간단한 로그인 기능을 구현해보았습니다. 이를 통해 JSP를 이용하여 회원가입, 로그인, 로그아웃 등의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었습니다. 다만, 보안과 같은 측면에서 더 많은 고민과 개선이 필요할 것입니다.

IT 기본상식 2023.03.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