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3) 썸네일형 리스트형 네트워크 통신에서 사용되는 OSI 7계층과 TCP/IP 4계층의 차이점 | OSI 7계층 | TCP/IP 4계층 | |--------------------------|-------------------------------| | 7. 응용 계층 | 4. 응용 계층 | | 6. 표현 계층 | | | 5. 세션 계층 | | | 4. 전송 계층 | 3. 전송 계층 | | 3. 네트워크 계층 | 2. 네트워크 계층 | | 2. 데이터 링크 계층 | | | 1. 물리 계층 | 1. 물리 계층 | OSI 7계층 1계층(물리 계층, Physical Layer): 네트워크의 물리적인 구성 요소에 대한 표준을 정의합니다. 2계층(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물리 계층 상의 오류를 검사하고 수정합니다. 3계층(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데이터의 경로를.. 인터넷 프로토콜에서 사용하는 포트 번호와 공식적인 포트 번호의 중요성 인터넷 프로토콜에서 사용하는 포트 번호는 0부터 65535까지 총 65536개가 있습니다. 이 중 일부는 표준화된 공식적인 포트 번호로 사용되며, 이 포트 번호를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인터넷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다음은 일부 표준화된 공식적인 포트 번호입니다. HTTP: 80 HTTPS: 443 `FTP(Data): 20 FTP(Control): 21 SSH: 22 Telnet: 23 SMTP: 25 DNS: 53 TFTP: 69 HTTP Proxy: 8080 HTTP와 HTTPS의 차이점과 보안 프로토콜의 중요성 HTTP(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와 HTTPS(HTTP Secure)는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하지만 두 프로토콜은 보안 및 데이터 암호화의 측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HTTP: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하지만, 데이터 전송 시 암호화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가 노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HTTPS: HTTP의 보안 버전으로, SSL(Secure Sockets Layer) 또는 TLS(Transport Layer Security)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송합니다. 데이터가 암호화되기 때문에, 데이터 노출 및 해킹 등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