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pring Framework의 기본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Controller - Spring MVC에서 컨트롤러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입니다.
- @RequestMapping - URL 요청을 어떤 메서드가 처리할지 매핑해주는 어노테이션입니다.
- @Autowired - 스프링에서 객체를 자동으로 주입하기 위해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입니다.
- @Service - 비즈니스 로직을 담당하는 서비스 클래스를 선언하기 위해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입니다.
- @Repository - DAO(Data Access Object) 클래스를 선언하기 위해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입니다.
- @Component - 일반적인 스프링 빈 객체를 선언하기 위해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입니다.
- @Configuration - 스프링 설정 파일을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입니다.
- @Bean - 스프링에서 빈 객체를 생성하고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입니다.
- @Qualifier - 동일한 타입의 빈 객체가 여러 개 있을 때 어떤 객체를 주입할지 지정해주는 어노테이션입니다.
- @Value - 프로퍼티 값을 주입하기 위해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입니다.
Spring Framework는 자바 엔터프라이즈 개발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프레임워크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기본 명령어들을 잘 숙지하고 활용하면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스프링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
'IT 기본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엔드와 프론트엔드의 차이점과 역할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3.14 |
---|---|
HTML의 기본 명령어들을 알아보자 (0) | 2023.03.14 |
SQL 데이터베이스 작업의 기본이 되는 명령어들 알아보기 (0) | 2023.03.14 |
JSP 프로그래밍의 기본이 되는 명령어들 알아보기 (0) | 2023.03.14 |
Java 프로그래밍의 기본이 되는 명령어들 알아보기 (0) | 2023.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