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를 쓰면 쓸수록 느려지고, 배터리도 빨리 닳고, SSD 수명도 줄어드는 느낌이 드시나요?
그 이유, 바로 ‘꺼야 할 설정’을 방치하고 있어서입니다.
많은 사용자들이 모르고 사용하는 설정들이 실제로는 속도 저하, 개인정보 노출, 저장장치 수명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오늘은 2025년 기준으로 **윈도우에서 반드시 꺼야 할 설정 5가지**를 선정하여 알려드립니다.
한 번만 세팅해두면, 눈에 띄게 쾌적해지고 문제도 줄어듭니다.
1️⃣ 위치 서비스
윈도우는 기본적으로 위치 정보를 계속 수집합니다.
이건 배터리를 잡아먹을 뿐 아니라 사생활 침해의 위험도 존재합니다.
해결법:
- 설정 > 개인정보 및 보안 > 위치
- '이 장치의 위치'를 끔
- 특히 데스크탑 사용자라면 100% 꺼도 무방합니다
2️⃣ 백그라운드 앱 실행
필요 없는 앱들이 몰래 실행되며 CPU, 메모리, 네트워크를 계속 점유하고 있습니다.
속도 저하의 주범 중 하나죠.
해결법:
- 설정 > 앱 > 앱 및 기능
- 백그라운드 앱 설정에서 불필요한 앱 ‘사용 안 함’으로 변경
- OneDrive, Xbox Game Bar, 뉴스 알림 등은 기본적으로 꺼주세요
3️⃣ 시작 프로그램 과다 등록
부팅할 때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많을수록, PC는 느려집니다.
특히 ‘클라우드 동기화’, ‘업데이트 알림’, ‘광고용 런처’ 등은 전혀 쓸모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해결법:
- 작업 관리자 (Ctrl+Shift+Esc) > 시작프로그램 탭
- 사용하지 않는 항목은 마우스 오른쪽 > 사용 안 함
- 예: Discord, Zoom, Adobe Updater 등은 수동 실행만으로도 충분합니다
4️⃣ 진단 및 피드백 자동 전송
마이크로소프트는 시스템 오류나 사용 패턴을 주기적으로 수집해 서버로 보냅니다.
물론 이 데이터는 ‘품질 개선’을 위한 것이지만, 실상은 CPU와 네트워크 자원만 낭비됩니다.
해결법:
- 설정 > 개인정보 및 보안 > 진단 및 피드백
- 진단 데이터 수집 항목 모두 끔
- 피드백 빈도: ‘절대 안 함’으로 설정
5️⃣ 자동 다운로드 되는 드라이버 및 장치 앱
윈도우는 자동으로 장치 드라이버와 관련된 앱을 다운로드합니다.
하지만 이게 충돌이나 오류, 속도 저하로 이어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해결법:
- 제어판 > 시스템 > 고급 시스템 설정
- 하드웨어 > 장치 설치 설정
- ‘장치 제조업체의 앱을 다운로드하지 않음’ 선택
💡 추가로 꺼두면 좋은 설정들:
- 알림 및 권장 설정 (설정 > 시스템 > 알림)
- 시각 효과 (고급 시스템 설정 > 성능 > 시각 효과 > 사용자 지정)
- 저장소 센스 자동 정리 (불필요한 삭제 방지용)
📌 요약 정리 (표 형식 대신 깔끔한 리스트)
- 위치 서비스 ➜ 개인정보 침해 및 배터리 낭비 유발
- 백그라운드 앱 ➜ CPU, 메모리, 인터넷 자원 소모
- 시작 프로그램 ➜ 부팅 속도 저하의 핵심 원인
- 진단 및 피드백 ➜ 불필요한 정보 전송 및 속도 저하
- 자동 드라이버 설치 ➜ 충돌 가능성, 리소스 낭비
이 5가지 설정만 꺼도,
속도는 최대 2배 향상되고, 시스템 안정성도 대폭 개선됩니다.
특히 SSD 수명 연장과 개인정보 보호에도 큰 도움이 되니, 꼭 실천해보세요!
'IT 기본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PC 성능 30% 향상시키는 작업 스케줄러 설정 – 고급 사용자만 아는 팁 (0) | 2025.08.01 |
---|---|
하드디스크보다 빠르게 만드는 레지스트리 설정법 – 초보자도 가능한 속도 향상 비법 (0) | 2025.08.01 |
SSD 수명 줄이는 설정 TOP 5 – 지금 당장 꺼야 할 항목 (0) | 2025.08.01 |
PC 속도 저하의 진짜 원인 5가지 – 당신이 절대 의심하지 않은 것들 (0) | 2025.08.01 |
윈도우11에 숨겨진 ‘비밀 기능’ 7가지, 알고 나면 시간 10배 아낀다? (0) | 2025.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