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명히 500Mbps 요금제 쓰는데 왜 게임 핑이 80까지 튀지?”
“팀파이트 중에 순간 멈춤 걸려서 졌다니까...”
“와이파이 속도 측정하면 잘 나오는데 게임만 튄다?”
이런 고민, 한번쯤 해보셨을 겁니다.
인터넷 속도는 괜찮게 나오는데 유독 게임할 때 핑(Ping, 지연시간) 이 튀는 경우.
대부분은 ‘공유기 문제인가?’ 라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공유기를 바꿔도 해결 안 되는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공유기 교체 전에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6가지 체크리스트를 소개합니다.
실제 게임 환경에서 핑 문제를 유발하는 원인들을 현실적으로 정리했으니, 꼭 체크해보세요.
1️⃣ 집안에서 사용하는 디바이스 개수
요즘 한 집에 휴대폰, 태블릿, 스마트 TV, 로봇청소기, IoT 기기 등
무선 장치만 최소 10개 이상 연결돼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문제는 이들이 모두 인터넷 대역폭을 나눠 쓰고 있다는 것입니다.
특히 누군가 유튜브 4K 영상, 넷플릭스, 클라우드 백업 등을 하고 있다면?
✅ 게임에 필요한 안정적인 패킷 전송에 간섭이 생깁니다.
특히 FPS 게임처럼 실시간 위치 정보가 중요한 게임은
순간적인 데이터 충돌만으로도 핑이 튀고, 랙이 발생하죠.
💡 해결법:
게임 중에는 다른 디바이스의 다운로드/스트리밍 중단
공유기 QoS 설정에서 ‘게임 장치 우선’ 지정
게임용 디바이스는 유선 연결로 전환
2️⃣ 와이파이 대역폭 확인 (2.4GHz vs 5GHz)
의외로 많은 유저들이 아직도 2.4GHz에 연결된 채 게임을 하고 있습니다.
2.4GHz는 벽 투과력은 좋지만, 간섭이 심하고 속도도 제한적입니다.
공유기 옆에 있더라도 핑이 안정적이지 않은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 특히 주변에 무선 기기가 많으면,
전자레인지 같은 생활가전조차 2.4GHz 간섭을 유발합니다.
💡 해결법:
반드시 ‘5GHz’ 대역으로 연결
공유기 이름에 5G/2.4G 구분 없다면 설정에서 수동 분리
가능하다면 무조건 유선 LAN 사용 (핑 안정성 최상)
3️⃣ 노트북/PC의 네트워크 카드 상태
고사양 PC인데도 핑이 튀는 이유 중 하나는
‘내부 네트워크 카드’ 성능이 떨어지거나 드라이버가 오래돼서입니다.
예:
구형 노트북은 100Mbps까지만 지원
랜카드가 고속 처리에 병목 발생
무선랜 카드가 Bluetooth와 채널을 공유하며 충돌
💡 해결법:
노트북/PC에 기가비트 유선랜 포트가 있는지 확인
드라이버 업데이트 진행
USB 외장 기가비트 랜카드도 고려 가능 (1만원대)
4️⃣ 백신, 업데이트, 클라우드 싱크 등 백그라운드 트래픽
눈에 안 보이는 데서 핑을 잡아먹는 진짜 범인은
바로 백신 프로그램, 윈도우 업데이트, 클라우드 자동 동기화입니다.
✔️ 특히 게임 중인데 OneDrive나 구글 드라이브가 동기화 중이면
갑자기 핑이 300 이상으로 치솟는 경우도 있습니다.
💡 해결법:
게임 실행 전 백신 실시간 감시 일시 정지
윈도우 업데이트 ‘수동 확인’으로 변경
클라우드 서비스는 일시 중지 후 플레이
5️⃣ 인터넷 회선 자체의 품질 문제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회선 품질이 지역/시간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특히 아파트 단지, 원룸 밀집지역은 밤 시간대 트래픽 과부하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 속도는 괜찮은데 핑이 튄다면?
이는 회선 지연, 패킷 손실, 경로 길이 증가 때문일 수 있습니다.
💡 확인 방법:
PingPlotter, WinMTR 같은 툴로 경로 추적
특정 구간에서 핑이 높다면 회선 문제 가능성 높음
통신사 고객센터에 회선 품질 점검 요청
6️⃣ 공유기 설정 문제 (QoS, 포트포워딩, 펌웨어)
마지막은 공유기 설정 이슈입니다.
특히 고급 공유기를 사용하는 경우, 잘못된 QoS나 포트 설정이 문제일 수 있습니다.
예:
QoS에서 스트리밍 기기를 우선순위로 설정한 경우
→ 게임 기기 우선순위 밀림
포트포워딩 미설정 시 NAT 타입 제한 발생 (콘솔 게임)
펌웨어가 오래돼 오류 발생
💡 해결법:
공유기 설정 접속 → QoS 우선순위 재조정
NAT 타입 확인 및 DMZ/포트포워딩 설정
최신 펌웨어로 업데이트
📌 정리 요약
1️⃣ 집안 디바이스 트래픽 관리
2️⃣ 무조건 5GHz 또는 유선
3️⃣ 내 PC/노트북 네트워크 카드 상태 확인
4️⃣ 백그라운드 프로그램 정리
5️⃣ 통신사 회선 품질 점검
6️⃣ 공유기 내부 설정 점검
❗ 공유기 교체는 이 모든 걸 확인한 뒤의 ‘최후의 수단’입니다.
무턱대고 공유기부터 바꿨다간 돈만 쓰고 해결 안 될 수도 있습니다.
'IT 기본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인터넷 속도는 빠른데 체감이 느린 이유? 진짜 원인 6가지 완전 정리 (3) | 2025.08.01 |
|---|---|
| 2025년 기준! 실사용자 입장에서 뽑은 가성비 공유기 추천 TOP3 (3) | 2025.08.01 |
| 고성능 게이밍 마우스, 진짜 FPS 실력 올라갈까? 써보지도 않고 사면 손해 보는 이유 6가지 (2) | 2025.08.01 |
| 인터넷 속도 500Mbps인데 왜 유튜브는 계속 끊기지? 진짜 원인 5가지 (2) | 2025.08.01 |
| 노트북 충전기 계속 꽂아둬도 괜찮을까? 배터리 수명 진실과 관리법 총정리 (2) | 2025.08.01 |